티스토리 뷰
목차
부가세 신고기간, 매번 헷갈리셨나요? 2025년에도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는 각각 정해진 시기에 맞춰 부가가치세를 정확하게 신고하고 납부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✔ 2025년 부가가치세 확정·예정 신고 일정 ✔ 개인과 법인별 신고 주기 차이 ✔ 놓치기 쉬운 마감일 주의 포인트 ✔ 홈택스로 신고하는 간단한 절차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 부가세 신고는 곧 세금 절약의 출발점!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두고 미리 준비해보세요.
✅ 부가세란?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
부가가치세(부가세)는
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거래 금액의 일정 비율(보통 10%)을 세금으로 부과하는 간접세입니다.
소비자가 부담하고, 사업자가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구조입니다.
📌 신고 대상자 정리
구분 | 해당자 |
개인사업자 | 자영업자, 프리랜서, 온라인 판매자 등 |
법인사업자 | 주식회사, 유한회사 등 법인 등록된 기업 |
과세사업자 |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, 일반적인 거래 사업자 |
간이과세자 | 연매출 8천만 원 미만 소규모 사업자 (간이신고 대상) |
💡 면세사업자는 신고 대상 아님
- 병원, 학원, 농산물 판매 등은 면세 대상 업종
→ 부가세 자체가 면제되므로 신고 의무 없음 (단, 사업자 등록은 필요)
✅ 모든 과세사업자라면 부가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.
신고를 하지 않거나 늦게 하면 가산세가 부과되니 꼭 체크하세요.
✅ 2025년 부가세 신고기간 한눈에 정리
2025년 부가가치세는 개인과 법인에 따라 신고 횟수와 시기가 다릅니다.
아래 표를 참고해 기한을 정확히 기억해두세요.
📅 2025년 부가가치세 신고·납부 일정표
구분 | 대상 | 과세기간 | 신고·납부 기한 |
1기 예정 | 법인사업자 | 2025.01.01 ~ 03.31 | 4월 25일 (금) |
1기 확정 | 개인·법인 | 2025.01.01 ~ 06.30 | 7월 25일 (금) |
2기 예정 | 법인사업자 | 2025.07.01 ~ 09.30 | 10월 25일 (토) → 27일 (월) |
2기 확정 | 개인·법인 | 2025.07.01 ~ 12.31 | 2026년 1월 26일 (월) |
💡 주의할 점
- 개인사업자: 확정신고만 연 2회 (7월, 1월)
- 법인사업자: 예정 + 확정신고 총 연 4회
- 마감일이 주말·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자동 연기
✅ 달력에 표시해두고, 홈택스 알림 설정까지 해두면 깜빡 잊고 가산세 맞는 일은 줄일 수 있습니다!
✅ 개인 vs 법인, 신고 주기 차이
부가가치세는 사업자의 유형에 따라 신고 주기와 방식이 달라집니다.
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차이를 아래에서 정리해볼게요.
📌 신고 주기 비교표
구분 | 개인사업자 | 법인사업자 |
신고 횟수 | 연 2회 (확정신고만) | 연 4회 (예정 + 확정) |
1기 신고 | 1.1 ~ 6.30 → 7월 25일까지 | 예정: 1.1 ~ 3.31 → 4월 25일 확정: 1.1 ~ 6.30 → 7월 25일 |
2기 신고 | 7.1 ~ 12.31 → 다음 해 1월 25일까지 | 예정: 7.1 ~ 9.30 → 10월 25일 확정: 7.1 ~ 12.31 → 1월 25일 |
과세 유형 | 일반·간이과세자 | 일반과세자 |
기타 | 간이과세자는 연 1회 신고(1월) | 모든 법인은 예정신고 의무 있음 |
💡 핵심 요약
- 개인사업자는 확정 신고만 7월, 1월
- 법인사업자는 분기별로 모두 신고
- 간이과세자는 매년 1월 한 번만 신고
✅ 나는 개인인가, 법인인가, 간이과세자인가? 과세 유형부터 먼저 확인하면 부가세 신고가 훨씬 수월해집니다!
✅ 홈택스로 부가세 신고하는 방법
부가가치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24시간 전자신고가 가능하며,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바로 진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.
📌 홈택스 부가세 신고 절차 (개인 기준)
-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
- 공동인증서 or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
- [신고/납부] → 부가가치세 → 정기신고(확정/예정) 클릭
- 과세 유형 선택 및 기본 정보 확인
- 일반과세자, 간이과세자 등 선택
- 사업자 정보 자동 입력 확인
- 매출·매입 세액 입력 or 자동 반영
- 전자세금계산서, 신용카드 내역 연동 가능
- 수기로 추가 입력 가능
- 공제항목 입력 및 세액 계산
- 매입세액 공제, 의제매입세액 등 확인
- 신고서 제출 → 납부 진행
- 계좌이체, 카드납부, 간편결제 선택 가능
- 납부 완료 후 영수증 출력 가능
💡 신고 팁
- 간이과세자는 입력 항목이 더 간단함
- 전자세금계산서를 미리 발행하고, 카드 매입자료는 미리 확인해두면 신고가 빠름
✅ 홈택스는 자주 쓰는 신고서 자동 저장 기능, 지난 신고 불러오기 기능도 있어 2회차부터는 훨씬 수월합니다!
✅ 신고·납부 지연 시 불이익은?
부가세 신고는 기한 내 신고 + 기한 내 납부가 모두 이루어져야 합니다.
하나라도 지연되면 가산세와 납부 지연 이자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📌 주요 가산세 항목
구분 | 내용 | 가산세율 |
무신고 가산세 | 신고를 아예 하지 않은 경우 | 납부세액의 20% |
과소신고 가산세 | 일부만 신고한 경우 | 누락세액의 10% |
납부불이행 가산세 | 신고는 했으나 납부하지 않음 | 연 9.125% 상당의 이자 발생 |
지연 자진신고 감면 | 마감일 경과 후 6개월 이내 자진신고 | 최대 50% 감면 가능 |
💡 꼭 기억하세요
- 마감일은 신고 마감일 = 납부 마감일
- 납부만 늦어도 이자형 가산세 부과
- 홈택스에서 가산세 자동 계산 기능 제공됨
- 법인·개인의 경우 구분 없이 동일하게 적용
✅ 실수로 신고를 놓쳤다면 최대한 빨리 ‘기한 후 신고’라도 진행하세요. 가산세는 줄이고, 납세 의무는 이행할 수 있습니다.
💬 마무리 한마디
부가세 신고는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, 절세의 시작입니다. 2025년에도 개인사업자와 법인 모두 정해진 기한을 지켜야
불필요한 가산세나 불이익 없이 안정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
✔ 부가세 신고 대상과 과세 유형
✔ 2025년 확정·예정신고 마감일
✔ 개인·법인 신고 주기 차이
✔ 홈택스 신고 방법과 가산세까지
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만 정리해드렸습니다.
📌 바쁜 시기일수록 미리 준비하는 게 가장 좋은 전략입니다. 홈택스 접속해 지난 신고 내역도 점검하고, 알림 설정까지 잊지 마세요!